양육과 교육(279)
-
부모들의 욕심의 결과 1
우리나라의 많은 부모들은 그 자녀가 천재나 영재이기를 기대하지만, 우리나라의 천재들이나 영재들 중에는 어느 그룹에도 속하지 못한 까닭에 사회생활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해서 혼자 소외된 사람들이 수두룩하며, 그중에는 심지어 먹고 살기 위해 각종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들도 종종 있다.(사진 : EBS 캡처)
2011.12.25 -
‘감각형 아이’ VS ‘노력형 아이’ 3
천부적인 성격이 감각형인 아이들은 호기심은 매우 강한 반면, 집중력은 약하고, 이와는 달리, 노력형인 아이들은 집중력은 매우 강한 반면, 호기심은 약하다. 그래서 특히 감각형인 아이들 중에는 주의력 결핍과 과잉행동 장애(ADHD) 아동, 즉, 선천적 정신병자로 오해받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특히 미국처럼 핵가족화가 발달돼 자녀의 양육에 반드시 필요한 정보가 계승되기 힘든 나라에서는 감각형인 아이들이 이 같은 오해를 받기 더욱 쉽다. 하지만 이런 유형의 아이들도 관심이 있는 특정한 분야에는 엄청난 집중력을 발휘한다. 따라서 평균적인 집중력은 노력형인 아이들이 좀 더 강한 반면, 특정한 집중력은 감각형인 아이들이 좀 더 강하다고 이해하면 훨씬 정확하다.(사진 : EBS 캡처)
2011.12.25 -
‘감각형 아이’ VS ‘노력형 아이’ 2
천부적인 성격이 감각형인 아이들은 호기심은 매우 강한 반면, 집중력은 약하고, 이와는 달리, 노력형인 아이들은 집중력은 매우 강한 반면, 호기심은 약하다. 그래서 감각형인 아이들은 호기심을 자극하는 것을 계속해서 찾아다니는데, 이런 까닭에 활동성이 매우 강한 듯 보일 수 있다. 하지만 노력형인 아이들은 호기심을 자극하는 것보다 주로 안정적으로 집중할 수 있는 것을 찾는다. 그렇다보니 활동성이 매우 약한 듯 보일 수 있는데, 그러나 그렇게 보이는 것뿐, 어떤 유형의 아이든지 상황에 따라서는 이와 정반대의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으므로 결코 섣불리 판단해서는 안 된다.(사진 : EBS 캡처)
2011.12.25 -
‘감각형 아이’ VS ‘노력형 아이’ 1
천부적인 성격이 감각형인 아이들은 호기심은 매우 강한 반면, 집중력은 약하고, 이와는 달리, 노력형인 아이들은 집중력은 매우 강한 반면, 호기심은 약하다. 그래서 감각형인 아이들은 호기심을 자극하는 것이 있으면 충분히 만족될 때까지 계속해서 호기심을 충족시키려고 하지만, 지구력은 매우 약하다보니 주의집중력이 매우 약한 듯 보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노력형인 아이들은 호기심이 약한 만큼 굳이 여러 가지에 호기심을 드러내지는 않는다. 그 대신, 안정적으로 무엇인가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 때문에 노력형인 아이들은 주의집중력이 매우 강한 듯 보일 수 있다. (사진 : EBS 캡처)
2011.12.25 -
자수성가한 사람들이 자녀 교육에 실패하는 이유
전 세계의 수많은 발명가들의 표본이 되고 있는 발명왕 에디슨. 하지만 자식 교육에는 실패해서 그의 큰아들은 희대의 사기꾼이 되고 말았다는데, 이처럼 자수성가한 사람들 중에는 자녀 교육에는 실패한 사람들이 엄청나게 많다. 물론, 우리나라에도 이런 사람들은 아주 수두룩하다. 그래서 자식 때문에 속을 썩이며 노년을 매우 힘들게 보내는 사람들도 적지 않게 있고, 죽은 뒤 그 자녀가 도박이나 술 등에 중독되는 등, 정신병자가 되는 경우도 허다한데, 그렇다면 자수성가한 사람들 중 거의 모두는 왜 자녀 교육에 실패하는 것일까? 먼저, 부모로부터 한 푼도 물려받지 못한 사람들은 그저 열심히 돈만 벌면 된다. 하지만 부모로부터 유산을 물려받는 사람들은 그저 돈을 벌기에 앞서, 유산을 잘 관리할 수 있는 능력부터 가져야하..
2011.12.22 -
논술교육의 문제점
본래 글이란 사람의 마음을 표현하는 여러 가지 방법들 중 한가지이다. 따라서 아이들에게 글쓰기를 가르칠 때는 최대한 자신의 마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하는데, 하지만 실제로 각 급 학교에서는 주어진 주제에 따라 글을 쓰도록 지도한다. 즉, 아이들로 하여금 교사가 제시한 특정한 범위 안에서만 생각하도록 강요하고, 오직 그에 관한 글만 쓰도록 요구하는 것이다. 그렇다보니 아이들은 정작 자신이 관심이 있는 것에 대한 글, 즉,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는 글은 쓰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크며, 이로 인해 글쓰기에 거부감을 갖게 될 수도 있는데, 실제로 우리나라에는 이 같은 글쓰기 방식 때문에 글쓰기에 흥미를 잃거나 글쓰기를 마냥 어렵게 생각하게 된 사람들이 셀 수 없이 많이 있다.(사진 : EBS..
2011.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