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해결능력(3)
-
노인과 젊은이의 문제해결능력
경험이 많은 노인들의 문제해결능력이 젊은이들보다 더 뛰어나다는 한 연구결과. 이에 외국의 한 학자는 “노인들이 종합적인 사고를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즉, 노인들은 매우 다양한 시행착오를 거치며 자신의 말이나 행동으로 인해 어떤 결과가 일어날지 대략 예측할 수 있게 되다보니 젊은이들보다 더 현명한 선택을 하기 쉽다는 것인데, 노인들이 결정하는 속도가 젊은이들보다 느린 가장 기본적인 이유가 바로 이 때문. 하지만 아직 젊다고 해도, 즉, 경험이 적은데다 시행착오도 덜 겪었고, 이 때문에 ‘정확한 정보’를 덜 알고 있다고 해도, 문제해결에 앞서 생각을 충분히 정리한다면 웬만한 노인보다 훨씬 현명한 선택을 할 수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 물론, 똑같이 생각을 정리했다면 경험이 많은 노인들이 문제를 해결하는..
2012.10.15 -
문제해결능력이 부족하면
수학을 잘하는 학생과 수학을 못하는 학생. 이 둘만 비교해 봐도 쉽게 알 수 있듯이, 문제해결능력이 부족하면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하나의 문제에 훨씬 많은 시간 동안 매어있게 된다. 즉, 문제해결능력이 부족하면 사람은 겨우 하나의 문제에도 더 오랫동안 시달리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비록 이렇게 됐다고 해도 더 이상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면, 그래서 시간을 두고 차분하게 지금 시달리고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만 있다면 굳이 이에 대해서 걱정할 필요는 없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세상은 워낙 문제가 많은 곳이다 보니 미처 하나의 문제를 해결하기도 전에 무엇인가 전혀 새로운 문제가 시작될 수도 있는데, 이렇게 되면 사람은 하는 수 없이 동시에 두 가지 이상의 문제에 시달려야한다. 마치, 돈이 없어서 쫄쫄 ..
2012.03.25 -
결혼생활에 필요한 기본능력
정신문제에 시달리지 않는 사람들 중에서 서로 잘 조화를 이루는 남자와 여자가 결혼하는 등, 아무리 철저히 준비한다고 해도 결혼 뒤 부부는 또 크고 작은 온갖 문제들을 계속해서 겪게 된다.성격문제나 성문제를 비롯한 부부문제, 배우자의 본가와의 문제, 또, 육아문제 등. 왜냐하면, 부부가 되어 함께 살아봐야 겨우 알 수 있는 문제들이 매우 여러 가지 있는 까닭인데, 바로 이런 문제들을 힘을 합해 잘 해결한다면 부부는 보다 행복한 결혼생활을 할 수 있게 되지만, 그렇지 못하면 온갖 문제에 시달리는 몹시 불행한 결혼생활을 계속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래서 부부는 결혼 뒤 겪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 즉, ‘문제해결능력’이 크면 보다 행복한 결혼생활을 할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하다면 불행한 결혼생활을 ..
2012.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