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2)
-
많은 교육비가 필요한 이유
사실, 자녀를 가르치는 데에 학원비 등 많은 교육비가 필요한 것은 결코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교육비가 필요하다고 말하는 대다수의 우리나라 부모들. 그런데 그중에는 안 보내면 자꾸 불안해지는 까닭에 하는 수 없이 자녀를 학원에 보낸다는 부모들이 아주 허다하다. 즉, 분명한 목적이 있는 까닭이 아니라, 남들을 자꾸 의식하다보니 어쩔 수 없이 자녀를 학원에 보내게 된다는 것인데, 그중에는 심지어 학원비 등의 사교육비를 ‘불필요한 소비’라고 생각한다는 부모들도 적지 않게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많은 교육비가 필요한 실제의 이유는, 자녀의 교육을 위함이 아니라, 부모의 불안 심리를 잠재우기 위함이라고 말할 수 있다. 물론, 교육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우리나라에서 부모들이 자녀의 성적에 대한 불안..
2012.10.07 -
교육, 무엇이 문제인가? 1
‘공교육이 문제다’, ‘사교육이 문제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학교에서 교육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아무런 관심 없이, 이렇게 그저 이런저런 교육제도만을 탓한다. 무엇을 가르치는지는 관심 없이, 즉, 그 안에 어떤 것이 담겨있는지는 관심 없이, 그저 그릇만을 탓하고 있는 것이다. 그 안에 똥이나 쓰레기가 잔뜩 담겨있다면 아무리 좋고 훌륭한 그릇이라고 해도 제대로 된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을까? 교육제도가 아무리 좋다고 해도, 정작 사람에게는 어울리지 않는 것이 교육된다면 과연 좋은 교육이라고 할 수 있을까? 비록, ‘진화론’과 같이 부분적인 문제점뿐 아니라, 현행 교육 내용 중에는 반드시 짚어봐야 하는 문제점들이 의외로 많이 있다. 대표적으로, 현재 중고등학교에서 가르치는 수학은 사람의 생각하는 구조와 전혀 다..
2011.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