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3)
-
사람의 생각하는 능력
사람의 생각하는 능력은 무한하다고 말할 수 있을 만큼 엄청나다. 종종 사람의 능력으로는 도무지 이룰 수 없는 것에 대해서도 아주 쉽게 상상하니. 하지만 생각하는 능력에 비해서 체계적으로 생각하는 능력, 즉, 사유하는 능력은 매우 부족한데, 사람의 능력으로는 결코 이룰 수 없는 것에 대한 생각이나 경우에 맞지 않는 생각 등, 현실과는 도무지 맞지 않는 생각을 종종 하는 가장 기본적인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따라서 이 세상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체계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하며,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생각을 잘 정리하는 훈련부터 해야 한다. 마치, 여기저기 마구 흩어져있는 자동차의 온갖 부품들을 창고에 하나씩하나씩 잘 정리하듯이. 더구나 생각을 정리하는 훈련만 해도 사람은 웬만한 정신문..
2012.05.03 -
이 세상을 살아가기 위해 해야 할 생각
사람이 이 세상에서 살아가려면 늘 ‘지금의 나(我)’에게 맞는 생각을 해야 한다. 사람으로서의 생각, 남자, 혹은, 여자로서의 생각, 그리고 지금의 나이에 어울리는 생각과 지금의 상황에 어울리는 생각 등등. 왜냐하면, 이렇게 되어야 ‘지금의 나(我)’에게 어울리는 말이나 행동을 할 수 있기 때문인데, 이런 까닭에 이 세상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늘 ‘지금의 나(我)’에게 맞는 생각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는 달리, ‘지금의 나(我)’에게 맞지도 않는 생각을 하게 된다면 사람은 결국 ‘지금의 나(我)’에게는 어울리지 않는 말이나 행동을 잔뜩 하게 된다. 아들이 아버지처럼 말하고 행동하거나, 과장이 사장처럼 말하고 행동하는 것처럼. 물론, 이렇게 된다고 반드시 사람에게 문제만 생기는 것..
2012.04.21 -
교육, 무엇이 문제인가? 1
‘공교육이 문제다’, ‘사교육이 문제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학교에서 교육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아무런 관심 없이, 이렇게 그저 이런저런 교육제도만을 탓한다. 무엇을 가르치는지는 관심 없이, 즉, 그 안에 어떤 것이 담겨있는지는 관심 없이, 그저 그릇만을 탓하고 있는 것이다. 그 안에 똥이나 쓰레기가 잔뜩 담겨있다면 아무리 좋고 훌륭한 그릇이라고 해도 제대로 된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을까? 교육제도가 아무리 좋다고 해도, 정작 사람에게는 어울리지 않는 것이 교육된다면 과연 좋은 교육이라고 할 수 있을까? 비록, ‘진화론’과 같이 부분적인 문제점뿐 아니라, 현행 교육 내용 중에는 반드시 짚어봐야 하는 문제점들이 의외로 많이 있다. 대표적으로, 현재 중고등학교에서 가르치는 수학은 사람의 생각하는 구조와 전혀 다..
2011.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