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5)
-
자극적인 음식을 좋아한다는 것은
뚱뚱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서 맛을 잘 못 느낀다는 한 통계결과. 그렇다보니 뚱뚱한 사람들은 자극적인 맛의 음식을 찾는다는데, 실제로 비만인 한 남자는 맛을 느끼려고 자꾸 자극적으로 먹다보니 과식하게 됐으며, 그 결과, 살이 쪘다고 말한다. 하지만 자극적인 맛의 음식을 즐긴다고 해서 반드시 살이 찌는 것은 결코 아니니 자극적인 맛을 즐기는 사람들 중에는 비만인 사람들이 있다는 것이 훨씬 정확한 이해. 또, 자극적인 맛을 찾는다는 사람들은 아주 어릴 때부터 자극적인 맛에 길들여져 이같이 된 것일 수도 있으니 반드시 비만과 자극적인 맛을 연결시킬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그런데 그에 앞서, 맛을 잘 못 느낀다는 것은 곧 미각이 무엇인가 문제가 생겨서 원래의 자연스러운 상태를 잃어버렸다는 것을 의미..
2013.06.19 -
남편들이 가장 싫어하는 음식
남편들이 가장 먹기 싫어하는 음식으로 꼽힌 며칠씩이나 계속되는 ‘똑같은 반찬’. 물론, 날마다 새로운 음식을 만든다는 것은 아내에게 분명히 몹시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아무리 맛있는 음식이라도 여러 차례 반복되면 곧 식상함을 느끼는 것도 사람으로서는 어쩔 수 없는 일. 왜냐하면, 사람은 반복되는 자극에 매우 약하기 때문인데, 따라서 밑반찬이 아닌 똑같은 반찬을 3회 이상 식탁에 올리면 남편으로부터 불평을 듣기 매우 쉽다고 이해하면 정확하다.(사진 : MBN 캡처)
2013.05.02 -
폭식에 관한 아주 흔한 오해
여자들이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는 흔히 먹는 것으로 푼다고 말하는 한 아나운서. 하지만 막상 알고 보면, 바로 이런 생각은 폭식에 관한 여러 가지 오해가 뒤섞인 가장 흔한 오해인데, 먼저, 이 세상에는 스트레스를 받는 등 억눌렸을 때 식욕이 줄어드는 사람들이 있는 반면, 식욕이 증가하는 사람들도 있다. ‘먹는 것으로 스트레스를 푼다.’ 등의 말은 이중에서 후자인 경우의 사람들이 아주 흔하게 하는 말. 즉, 자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사람들이 아주 흔히 하는 말들 중 하나인 것이다. 또, 실제로 이들에게 먹는 행위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행위가 아니라, 그저 스트레스 때문에 갑자기 증가한 식욕을 해소하기 위한 행위일 뿐이다. 그렇다보니 아무리 배불리 먹어도 결코 스트레스는 해소되지 않는데, 그래서 따로 ..
2013.01.23 -
경쟁자를 예방하려면
사람이 이 세상을 살아가다보면 셀 수 없이 많은 경쟁자를 계속해서 만나게 된다. 더구나 이 세상에는 누구인가 돈을 번다는 소문을 들으면 개떼처럼 앞뒤 가리지 않고 무턱대고 덤벼드는 사람이 워낙 많다보니. 그러다보면 경쟁에 지쳐 아무 일도 못하게 될 수도 있는데, 그래서 사람들은 흔히 남들이 결코 쉽게 흉내 낼 수 없는 자신만의 비법을 개발하는 것이 일반적. 그런데 경쟁자가 자꾸 생기는 이유 중 하나는 비집고 들어올 틈이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만약 이런 틈을 주지 않으면 누구도 쉽게 경쟁에 뛰어들 생각을 못하는데, 요식업으로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다는 한 기업가는 처음부터 남들이 쉽게 비집고 들어올 수 없는 가격으로 미리 경쟁자를 예방했다고 말한다. 그러나 사실 이같이 결정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2013.01.22 -
음식에 몰두하는 아이
음식에 집중하다보면 잡생각이 사라지면서 점점 마음이 편안해진다는 한 여고생. 즉, 상처를 받는 등 억눌린 경우에 음식에 잔뜩 몰두하다보면 마음이 안정된다는 것인데, 그렇다보니 더 많은 음식을 먹게 된다고 한다. ‘음식을 먹으면 스트레스가 풀린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무엇인가 자꾸 먹게 된다’ 등으로 말하는 사람들이 바로 이런 유형. 그런데 이처럼 상처를 받거나 혼자만 방치되는 등 억눌렸을 때 무엇인가에 잔뜩 몰두하는 사람은 아주 흔하다. 단지 몰두하는 대상의 차이만 있을 뿐인데, 그래서 이런 사람들을 ‘음식 몰두형’, ‘게임 몰두형’ 등의 ‘몰두형 인간’으로 분류한다. 무엇인가에 잔뜩 집착하거나 무엇인가에 중독됐다는 사람들 역시 바로 이런 유형. 따라서 사람이 무엇인가에 자꾸 몰두하는 것은 그만큼 많은..
2012.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