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코올중독(2)
-
알코올의존증에 대한 두 가지 생각
오랫동안 시달린 알코올의존증을 고치려고 정신과 의사의 처방에 따라 한꺼번에 여러 가지 약을 복용한다는 한 남자. 하지만 한 임상미술치료학과 교수는 이 남자에 대해서, 많은 상처를 받는 등 잔뜩 억눌렸는데도 그 마음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해 술에 의존하게 됐다면서, 더 이상 술에 의존하지 않으려면 표현하고 싶은 욕구를 충족시켜줘야 한다고 말한다. 알코올의존증을 정신과 의사는 그 자체로 하나의 병이라고 생각해서 분석한 반면, 임상미술치료학과 교수는 그저 하나의 증상이라고만 생각했고, 그래서 이 증상이 나타나게 된 원인을 먼저 파악하려 노력했기에 이처럼 처방이 전혀 다른 것인데, 그렇다면 과연 누가 알코올의존증에 대해 좀 더 정확하게 이해하고 처방했을까? 그런데 이 남자에게 여러 약을 처방한 정신과 의사는 약물..
2013.01.18 -
중독에 대한 오해
도박이나 술, 혹은, 게임 등, 사람이 무엇인가에 중독되는 이유를 즉시 보상받고자 하는 심리와 강한 자극을 추구하는 심리, 또, 호르몬의 작용 때문이라고 설명하는 한 정신과의사. 하지만 사람은 원래 심리적으로 불안한 상태가 되면 무엇인가를 붙잡으려는, 즉, 무엇인가에 자꾸 의지하려는 욕구가 있으며, 이런 까닭에 심지어 돌이나 쓰레기와 같이 아무런 쓸모가 없는 것에도, 즉, 아무런 보상이 없는 것에도 집착하게 되며, 또, 중독된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도박중독이나 알코올중독, 혹은, 게임중독 등 몇 가지만 자꾸 이야기되다보니 그 범위가 매우 좁은 듯 오해하는 것뿐인데, 더구나 책을 통해 사람에 대한 공부를 한 정신과의사 등 전문가들이 자꾸 왜곡된 정보를 전달하다보니 이에 대한 오해는 더욱 깊어지..
2012.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