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자(6)
-
학교폭력의 가해자가 된 이유
처음에는 상처를 받는 등 가정에서 억눌렸을 때 무턱대고 참기만 하다가 더 이상 참을 수 없게 되자 분풀이를 하기 위해 같은 반 학생들을 때렸으며, 집단따돌림을 주도했다는 한 중학생. 즉, 억눌린 감정을 해소 못한 채 계속해서 억눌리기만 하다 보니 결국은 폭력으로 감정을 표현하는 학교폭력의 가해자가 됐다는 것인데, 특히 우리나라에는 이 같은 심리적인 변화과정을 거치면서 가해자가 된 사람이 아주 흔하다. 학교폭력 역시 사실은 분풀이 범죄 중 한 가지요, 정신문제의 한 가지 유형이라고 말하는 이유도 이 때문. 그런데 이 중학생은 학교에서 마음을 표현하는 방법은 가르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명확하게 알 수 있는 증거도 된다. 만약, 학교에서 마음을 표현하는 방법을 배웠다면 그녀는 그때그때 자신의 억눌린 감정을 적절..
2013.01.28 -
보호자와 가해자
초등학교 5학년의 여름방학부터 아버지의 성폭력에 오랫동안 시달렸다는 한 여인. 그 과정에서 임신과 낙태까지 경험했다는데, 그렇다면 그녀의 아버지는 보호자가 아니라, 딸을 여러 가지로 집요하게 해코지한 가해자라고 말해야 정확할 것이다. 그런데 과거의 상처에서 벗어나지 않으려고 애쓰는 등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지 않는다면 이처럼 자식을 해코지하는 가해자가 되기 매우 쉽다. 혼자 잘 놀고 있는 애꿎은 어린 자식에게도 거침없이 분풀이를 하는 부모들처럼. 하지만 아버지, 혹은, 어머니라는 이유로 자녀를 해코지하는 거의 모든 가해자는 보호자라고 오히려 보호받고 있는 것이 현실. 그렇다보니 개선되려고 노력하기는커녕 오히려 더욱 잔인하게 자녀를 해코지하는 부모가 수두룩하게 됐는데, 따라서 이 같은 부모가 더 ..
2013.01.08 -
승자와 패자, 가해자와 피해자
승자와 가해자는, 그리고 피해자와 패배자는 근본적으로 여러 가지 차이가 있다. 가장먼저 가해자와 피해자는 경쟁이 전제되지 않는 반면, 승자와 패배자는 반드시 경쟁이 전제되어야하니. 하지만 학교폭력의 가해자를 학교생활의 승자라고 여기거나, 학교폭력의 피해자를 학교생활의 패배자라고 여기는 등, 흔히 승자와 가해자를, 또, 패배자와 피해자를 같이 취급한다. 심지어 부모에게 일방적인 학대를 당하는 자식들도 패배자라고 여기는 사람까지 있을 정도로. 일본이 과거 우리나라에 온갖 악행을 저질렀으면서도 반성을 않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도 바로 자신들이 가해자가 아닌 승자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물론, 승자와 가해자가, 피해자와 패배자가 같을 때가 있는 것은 분명히 사실이다. 하지만 그에 앞서,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는 승..
2012.12.04 -
가해자와 피해자 1
가해자들은 흔히, 피해자들이 어떻게 되든지 상관하지 않고 무턱대고 해코지한다. 하지만 그러다가도 자신에게 조금이라도 피해가 생기면 자신의 어려움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다고 마냥 억울해한다. (사진 : KBS1 캡처)
2012.05.11 -
피해자만 일방적으로 푸대접받는 세상
학교폭력의 가해자들을 위한 심리치유 프로그램은 마련돼 있지만, 피해자들을 위해서는 아무런 대책도 마련돼 있지 않은 우리나라의 현실. 학교폭력의 가해자들뿐 아니라, 연쇄살인범 등 어설프게 상처 받은 인간들이 워낙 설치는데다가 이들에 대한 대책만 마련되다보니, 정작 위로받고 이해받아야할 그 피해자들은 아무런 도움조차 못 받고 있다.(사진 : SBS 캡처)
2012.01.18 -
범죄의 피해자들
비단 학교 폭력의 가해자들뿐 아니라, 거의 모든 범죄자들은 바로 ‘만만한 상대’를 가해의 대상으로 삼는다. 여자나 어린아이들 중에 각종 범죄의 피해자가 많은 이유가 바로 이런 까닭인데, 따라서 쓸데없이 범죄에 노출되지 않기 위해서는 먼저 다른 사람들에게 만만하게 여겨지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사진 : KBS 캡처)
2012.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