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교육(2)
-
학교 교육의 또 하나의 문제
자신이 학생들의 마음을 잘 헤아리지 못해서 학생들이 잘 따르지 않는 것 같다고 고민하는 한 교사. 기본적으로 학교교육도 공급자 중심이 아닌 사용자 중심의, 즉, 교사 중심이 아닌 학생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지나칠 정도로 많이 교사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 그렇다보니 교사를 제대로 따르지 못하는 학생이 많이 있을 수밖에 없는 것인데, 그러니 당연히 이 같은 고민을 하는 교사가 있을 수밖에. 따라서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면 당연히 가장먼저 학생 중심의 교육으로 전환해야할 것이다.(사진 : EBS 캡처)
2013.02.28 -
서양 교육의 좋은 점이 있다면
내용상으로는 우리나라의 학교 교육과 다를 것이 거의 없는 미국을 비롯한 서양 여러 나라들의 학교 교육. 우리나라의 학교 교육과 가장 큰 차이라면 학생들 각자가 ‘나(我)’를 관점으로 한 교육을 받을 기회를 좀 더 많이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서양의 학생들은 우리나라의 학생들보다 자신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좀 더 많이 가질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서양의 학교 교사들은 우리나라의 학교 교사들보다 자신이 지도하고 있는 학생들의 장단점을 좀 더 쉽게, 좀 더 잘 파악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학생들에게 좀 더 현실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즉, 서양의 학생들이 우리나라의 학생들보다 자신에게 좀 더 잘 맞는 ‘맞춤교육’을 받을 기회를 좀 더 많이 가질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서양의 학교 교..
2011.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