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17)
-
적극적인 성격 VS 공격적인 성격
매우 적극적인 성격을 가진 한 남자에게 마음이 끌린다는 한 여자. 그런데 적극적인 성격과 공격적인 성격, 즉, 공격성이 강한 성격은 분명히 다르다. 적극적인 성격의 사람들과는 달리, 공격적인 성격의 사람들은 흔히 남들을 자신의 먹이라고만 여기니. 하지만 공격적인 것도 흔히 적극적이라고 말하다보니 공격성이 강한 사람을 흔히 적극적인 사람이라고 착각하는 것이 현실. 이 같은 착각 때문에 가정폭력에 시달리는 등 결국 공격성이 강한 사람의 먹이가 된 사람이 매우 많이 있는데, 그러니 적극적으로 말하거나 행동한다고 해서 무턱대고 적극적인 성격이라고 생각하지는 말아야할 것이다.(사진 : SBS 캡처)
2013.06.06 -
난폭한 남자의 변명
화를 내지 않아도 될 때마저 마구 화를 내는 등, 자신의 몹시 난폭한 성격 때문에 고민이라는 한 남자. 자신은 원래 전혀 난폭한 성격이 아니었지만, 전처가 교통사고로 사망하자 갑자기 성격이 이같이 바뀌었다고 한다. 즉, 갑자기 엄청난 충격을 받아 자신도 모르게 몹시 난폭한 성격으로 돌변했다는 것인데, 물론 이 같은 경우가 전혀 없다고 말할 수는 없다. 하지만 원래 성격이 거칠지 않다면 엄청난 충격을 받았다고 해서 이처럼 갑자기 성격이 돌변하기는 몹시 어려운 것이 현실. 그러니 원래 거친 그의 성격은 아내의 급사로 충격을 받아 더욱 난폭하게 됐다고 의심할 수 있는데, 겨우 그는 자신이 원래 다혈질의 성격이었다고 털어놓는다. 그런데 성격이 난폭한 사람들 중에는 이처럼 ‘원래 이런 성격이 아니었다’ 등으로 자..
2013.03.05 -
성격에 대한 비현실적인 기대
오랜 세월, 배우자의 성격이 바뀌기를 기대하며 마냥 참으면서 기다렸건만, 도통 바뀌지 않아 결국 이혼을 선택하는 노인이 여럿 있다고 밝히는 한 변호사. 사실, 사람의 성격은 생각을 정리하는 등 스스로 노력하면 쉽게 바꿀 수 있다. 하지만 피해자의 성격인 사람들이 주로 자신의 성격을 바꾸려 애쓸 뿐, 공격성이 강한 사람들처럼 가해자의 성격인 사람들은 좀처럼 자신의 성격을 바꾸려고 하지 않는데, 더구나 자신의 성격에 매우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빤히 알면서도 결코 고치려고 하지 않으려고 안간힘을 쓰는 사람도 결코 적지 않게 있다. 뿐만 아니라, 가해자의 성격인 사람들 중에는 허세를 부리려, 즉, 자신이 연약하게 된 것을 감추려 나이가 들수록 오히려 더욱 거칠어지는 사람도 드물지 않게 있는 것이 현실. ..
2013.02.19 -
성격과 암
성격과 암은 서로 매우 밀접하게 연관돼있다고 주장하는 한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사실, 이에 대해서는 자기관찰 블로그에서도 계속해서 이야기하고 있는데, 하지만 단지 성격과 암이 연관돼있다고 이해하기보다 심각한 정신문제에 시달리게 되면 각종 암에 걸릴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이해하는 것이 훨씬 정확하다. 실제로 알고 보면, 강박증이나 일중독, 착한여자 콤플렉스, 건강염려증 등은 각기 스트레스, 즉, 많은 상처를 받는 등 잔뜩 억눌렸지만 정확한 표현을 못한 까닭에 나타나는 정신문제의 한 가지 유형이니.(사진 : SBS 캡처)
2013.01.11 -
성격과 건강
건강은 이상성격, 즉, 정신문제와 아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이야기하는 한 의사. 그런데 그에 앞서, 사람이 억눌리면 몸의 균형상태가 깨져서 저항력, 즉, 면역력이 약해지게 되며, 이 때문에 잔병치레를 하는 등 매우 다양한 건강 이상이 나타나기 매우 쉽다. 뿐만 아니라, 암 등의 중병에 걸리기도 매우 쉬운데, 실제로 한 여성은 남편에게 오랫동안 억눌리던 중 암에 걸렸다고 한다. (사진 : MBC 캡처)
2012.06.13 -
사람의 세 가지 성격
사람은 누구든지 각기 그 나름대로 타고나는 선천적인 성격이 있다. 그리고 이 선천적인 성격은 부모 등의 가족과 그 밖의 다른 사람들에게 계속해서 엄청나게 많은 영향을 받으면서 끊임없이 조금씩 바뀌는데, 이런 까닭에, 사람의 성격은 크게 다음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이 세상에 태어날 때부터 타고나는 ‘선천적 성격’ (2) ‘선천적 성격’이 부모 등의 가족에 의해 변화된 ‘가족적 성격’ (3) ‘선천적 성격’과 ‘가족적 성격’이 그 밖의 사람들에 의해 변화된 ‘사회적 성격’ 그런데 이중에서 ‘가족적 성격’은 가족과의 관계에서 아주 흔하게 나타난다. 즉, 사람은 ‘가족적 성격’에 따라 부모나 형제는 물론, 배우자나 자녀 등 가족과의 관계를 계속하게 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가족적 성격’이 형성되..
2012.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