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쇄성폭력(2)
-
억눌림에서 벗어나면
많은 상처를 받는 등 일방적으로 누구인가로부터 억눌리는 경우에 사람들은 흔히, 자신을 억누르는 사람으로부터 벗어나면 마냥 자유롭게 살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즉, 억누르는 사람으로부터 벗어나면 ‘억눌린 나(我)’는 없이 ‘순수한 나(我)’로 이 세상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쉬운 것이다. 이런 까닭에 주말만 되면 산을 찾는 등 어디로인가 여행을 떠나기도 하며, 가출을 하는 등 자신을 억누르는 사람에게서 아예 도망치기도 하지만, 사실 이런 생각은 그야말로 섣부른 착각에 불과하다. 왜냐하면, 억누르는 사람에게서 벗어나면 ‘순수한 나(我)’가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는 ‘억눌린 나(我)’가 몹시 무질서하게 드러나게 되는 까닭인데, 그렇다보니 자신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지 ..
2012.05.18 -
청소년 범죄의 재범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사람이 이 세상을 살아가는 데에 반드시 필요한 정보들은 이미 모두 널리 공개되어 있다. 매년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는 청소년 범죄의 재범발생률. 해당 청소년 범죄자들은 계속해서 범죄를 저지르는 이유에 대해 “습관화되었기 때문”, 즉, 이미 습관화돼 범죄를 저지를 당시 자신을 통제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말하는데, 이에 강력한 형사적인 처벌을 해야 한다는 강경론과 처벌 대신 교화를 해야 한다는 온건론이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다는데, 그런데 비단 청소년들의 습관적인 범죄뿐만 아니라, 연쇄살인이나 연쇄성폭력 등의 모든 습관적인 범죄는 심리요법이 선행되지 않는 한, 이중에서 어떤 방법을 쓴다고 해도 결코 쉽게 수그러들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거의 모든 습관적인 범죄는 어릴 때부터 많은 상처를 받으면서 쌓인 응어리..
2012.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