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괴롭힘(6)
-
집단따돌림과 세상살이
서열싸움에서 패배하면 곧 왕따를 당하게 된다는 수컷타조들. 몸이 약해지자 곧 집단괴롭힘을 당하기 시작했다는 고양이 한 마리. 나이도 많은데다 일도 잘하는 고참사원에 의해 왕따를 당한 적이 있다는 한 여성. 이처럼 힘이 우선하는 사회에서는 왕따, 즉, 집단따돌림이나 집단괴롭힘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힘이 우선하는 사회에 들어갈 때는 반드시 집단따돌림이나 집단괴롭힘에 대한 대비를 해야 한다.(사진 : JTBC 캡처)
2013.05.15 -
학교폭력의 차이
특히 장애학생은 학교폭력에 시달리기 매우 쉽다고 털어놓는 미국의 한 고등학생. 우리나라에서는 초등학교에서도 일어나기 쉽지 않는 장애학생에 대한 학교폭력이 최고의 선진국이라는 미국에서는 어느 학교에서나 쉽게 일어날 수 있다니. 집단따돌림 등 학교폭력은 세계 어느 나라에서나 일어나지만, 각 나라마다 원인은 각기 다르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나친 억압이 학교폭력의 근본원인이라면 미국 등의 서양에서는 학생들에게 감당하지 못할 만큼 표현의 자유를 허락한 것이 학교폭력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니. 하지만 형태가 비슷하다는 이유로 모든 나라의 학교폭력은 같다고 여기는 사람이 아주 흔한 것이 현실. 이 때문에 우리나라와는 정서가 사뭇 다른 미국 등 서양의 학교폭력에서 해법을 찾는 사대주의적 발상도 할 수 있는 것..
2013.01.28 -
학교폭력의 가해자가 된 이유
처음에는 상처를 받는 등 가정에서 억눌렸을 때 무턱대고 참기만 하다가 더 이상 참을 수 없게 되자 분풀이를 하기 위해 같은 반 학생들을 때렸으며, 집단따돌림을 주도했다는 한 중학생. 즉, 억눌린 감정을 해소 못한 채 계속해서 억눌리기만 하다 보니 결국은 폭력으로 감정을 표현하는 학교폭력의 가해자가 됐다는 것인데, 특히 우리나라에는 이 같은 심리적인 변화과정을 거치면서 가해자가 된 사람이 아주 흔하다. 학교폭력 역시 사실은 분풀이 범죄 중 한 가지요, 정신문제의 한 가지 유형이라고 말하는 이유도 이 때문. 그런데 이 중학생은 학교에서 마음을 표현하는 방법은 가르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명확하게 알 수 있는 증거도 된다. 만약, 학교에서 마음을 표현하는 방법을 배웠다면 그녀는 그때그때 자신의 억눌린 감정을 적절..
2013.01.28 -
집단괴롭힘에서 벗어나는 가장 좋은 방법
학교에서 동급생들로부터 집단따돌림과 집단괴롭힘을 당해서 4년 동안 무려 여섯 번이나 자살을 시도했다는 미국 오하이오의 한 여고생. 그녀는 용기를 내서 자신의 어려움을 동영상을 통해 적극적으로 알렸으며, 이렇게 되자 비로소 집단따돌림과 집단괴롭힘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고 한다. 매우 많은 사람들이 어려움을 당하면 슈퍼맨처럼 누구인가 나타나서 자신을 구해주기 바랄 뿐, 쉽게 이런 용기를 내지는 못하는데, 더구나 학교에서 집단따돌림과 집단괴롭힘을 당한다면 더욱 용기를 내기는 힘들어진다. 하지만 비록 그렇다고 해도 피해자는 자신의 어려움을 최대한 널리 알리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렇게 되면 그 사실을 알게 된 모든 사람들이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피해자의 고난에 끼어들게 되는 까닭인데, 그렇다보니..
2012.01.13 -
한국, 일본, 미국의 ‘집단따돌림’
우리나라의 ‘집단따돌림’이 일본에서 유입됐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지만, 사실 우리나라의 ‘집단따돌림’과 일본의 ‘집단따돌림’은 내용이 많이 다르다. 왜냐하면, 전쟁으로 인해 오랫동안 조직생활을 중시한 일본에서의 ‘집단따돌림’은 조직생활에 부적합한 사람을 솎아내는 것이 기본적인 이유였던 반면, 우리나라의 ‘집단따돌림’은 ‘차이’를 인정하기 않는 매우 오랜 전통 때문에 시작됐기 때문인데, 그렇다보니 일본에서의 ‘집단따돌림’은 사회적으로도 암암리에 인정되는 등, 긍정적인 면도 있는 반면, 우리나라에서의 ‘집단따돌림’은 부정적인 면만 그득하다. 더구나 요즘 우리나라에서는 부모에게 받은 상처를 자기보다 약한 누구인가에게 분풀이하기 위해 ‘집단따돌림’을 주도하는 가해자들이 계속해서 늘어가고 있다. 특히, 각..
2012.01.05 -
집단따돌림 당하는 아이
'집단따돌림'이나 '집단괴롭힘'이 일본에서 유입됐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사실그 대부분은 가정에서 시작된다. 즉, 부모나 형제에게 많은 상처를 받거나 혼자만 방치됐던 것이 '집단따돌림'이나 '집단괴롭힘'의 가장 주된 원인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어린 시절의 '집단따돌림'이나 '집단괴롭힘' 경험은 종종 나이 많은 남자에 대한 호감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사진 : 채널 View ‘사랑받기 위해 벗는 여자’ 캡처)
2011.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