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1. 13. 02:13ㆍ세상 속 이야기
여러 해 전, MBC TV에서 진행했던 도올 김용옥의 ‘노자 특강’으로 우리나라에서 ‘도덕경’(道德經)이 큰 화제가 되고 있을 무렵.
우리나라의 철학쟁이 등 인문학쟁이들 거의가 철저한 사대사상에 찌들어 검증도 않은 채 중국이나 서양 등의 문화를 무분별하게 받아들이기 좋아하고, 또, 자기의 마음대로 해석하기 좋아한다는 것을 익히 잘 알고 있었기에, 도올 등의 ‘도덕경’에 대한 해석이 정확한지 알아보기로 했다.
그래서 가장먼저 찾아갔던 사람들이 대학교에서 중국어를 전공했다는 몇몇 지인. 하지만 지인들은 모두 다 ‘도덕경’의 첫 번째 구절인 ‘도가도비상도(道可道非常道) 명가명비상명(名可名非常名)’조차 번역을 못했다.
“문장 자체가 번역을 할 수 없는데요.”
그러다가 몇 년 뒤, 중국에서 유학 중이라는 우리나라의 젊은이들 몇몇을 알게 돼 다시 번역을 부탁했는데, 그러나 그들 역시 도무지 번역할 수 없는 문장이라면서 곧 포기하고 말았고, 이들을 통해 번역을 부탁했던 중국인이라는 몇몇의 대학생들 역시 도무지 번역할 수 없는 문장이라는 대답만 남겼다.
중국에서 태어나 중국에서 자랐고, 더구나 중국의 명문대에 다닌다는 대학생들이 번역도 못한다는 글을 우리나라의 철학과 교수 등 철학쟁이들은 해석까지 하다니.
과연, 우리나라의 철학쟁이들이 중국 사람들보다 중국어를 잘 해석할 수 있을까?
우리나라의 철학쟁이들이 중국 사람들보다 노자의 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까?
우리나라 사람들과 중국 사람들은 다른 의미나 심지어 정반대의 의미로 사용하는 단어도 종종 있건만.
그런데 오랜 시간이 지난 지금도 도올은 자신이 중국 사람들보다 중국어를 더 잘 알 수 있다는 듯, 자신이 중국 사람들보다 고대 중국 땅에서 살았던 노자의 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으며, 해석도 할 수 있다는 듯 ‘도가도비상도(道可道非常道)를 “도를 도라고 말하면 그 말하여진 도는 참다운 도가 아니다”라고 나름의 해석을 마구 늘어놓는다.
도대체 정신적인 철부지인 도올의 철학쟁이식 코미디는 언제까지 계속되려는지.
도대체 뼛속까지 사대주의자인 대다수 철학쟁이 등 인문학쟁이들의 악행은 언제까지 계속되려는지.(사진 : KBS2 <두드림> 캡처)
'세상 속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 대상 범죄 부추기는 세상 (0) | 2013.01.20 |
---|---|
가정의학과 의사의 흔한 한의사 디스 (0) | 2013.01.15 |
멘토들의 황당한 조언 (2) | 2013.01.10 |
연구 않는 인문학 교수 (0) | 2013.01.03 |
바람나기 쉬운 직업 1 (0) | 2013.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