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15)
-
통제과 친밀함 중에서
좋은 관계가 돼야 학생들이 자신의 통제에 잘 따를 것이라고 생각했다는 한 교사. 그래서 처음에 학생들이 문제를 일으켜도 강력하게 통제하지 않았다는데, 하지만 그녀의 예상과는 전혀 다르게, 좋은 관계가 될수록, 즉, 친밀하게 될수록 학생들은 수업시간에도 집중하지 못할 만큼 몹시 무질서해졌다고 한다. 이렇게 되자 비로소 자신의 생각에 무엇인가 오류가 있었음을 깨달았다는 그녀. 먼저, 원래 사람이란 자신보다 강한 사람에게 잘 순종하는 반면, 자신보다 강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순종하지 않으려하며, 자신보다 약한 사람은 지배하려한다. 즉, 친밀도와 순종은 아무런 연관이 없는 것이다. 그렇다보니 친하지 않아도 자신보다 강한 사람에게는 잘 순종하는 반면, 엄청나게 친해도 자신보다 강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순종하지 않으려..
2012.12.21 -
모순덩어리 열혈엄마
자식이 마음껏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돕는 것이 부모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는 한 열혈엄마. 매우 바람직한 교육관을 갖고 있는 듯한데, 이런 생각을 한다면 가장먼저 자식이 어떤 능력을 갖고 있는지부터 알아봐야 당연할 것이다. 하지만 부모를 닮아 심한 몸치였던 딸에게 유연성을 키워주려고 무턱대고 체조를 시켰다는 그녀. 즉, 딸의 능력은 아예 알아보지 않은 채, 그저 단점만 보완하려 체조를 시켰다는 것인데, 이제는 점점 힘들어하는 딸에게 오히려 제2의 손연재가 되기를 요구하고 있다고 한다. 자식이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 부모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면서도, 엉뚱하게 자신의 마음대로 딸을 질질 끌고 다니다니. 과연, 그녀의 딸은 엄마의 바라는 대로 제2의 손연재가 될 수 있을까? 그것까지는 알 수 없..
2012.12.17 -
교육에 앞서 필요한 것
아직은 세상물정을 모르는, 나이 어린 자녀의 생각을 부모가 무턱대고 존중해주는 것이 반드시 옳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는 한 변호사. 그러면서 “필요하다고 여겨질 때는 자녀를 강하게 훈육해야한다” 말하는데, 물론 그의 말은 정확하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은, 교육에 앞서 이 세상에서 살아가는 데 있어 자녀에게 반드시 필요한 것들을 진지하게 생각하는 부모는 매우 드물다는 것이다. 수많은 부모들이 흔히, ‘공부만 잘하면 된다’, ‘돈만 많이 벌면 된다’ 등으로 자녀에게 단편적인 생각과 단편적인 노력만 할 것을 끊임없이 요구하니. 이같이 해서는, 아예 불가능하다고 말할 수 있을 만큼, 이 세상을 살아가기 몹시 힘들다는 사실을 빤히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더구나 이 변호사처럼 “애들이 뭘 알아?” 생..
2012.12.17 -
친절한 선생님의 지나친 배려
이제 겨우 중학교 2학년인 학생들이 모두 교사의 지시대로 잘 따라 하기는 몹시 힘들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한 교사. 그래서 심지어 문제를 못 푸는 학생들에게는 한 명 한 명 찾아가 아주 친절하게 답까지 가르쳐준다고 하는데, 하지만 이렇게 되다보니 마음 편하게 장난을 치거나 휴대전화를 갖고 노는 등 학생들이 수업시간에도 집중을 못하게 됐다고 한다. 물론, 그녀의 말처럼, 이제 겨우 중학교 2학년인 학생들 모두가 교사의 지시대로 잘 따라 하기는 몹시 힘든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그에 앞서, 수업시간에도 학생들이 마음 편하게 장난을 치거나 휴대전화를 갖고 놀 만큼 무질서하다는 것은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지켜야할 기본적인 원칙도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다시 교사로서 학생들을 지도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
2012.12.13 -
자녀를 가르치기에 앞서
사람의 몸 중에서 대략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는 물. 그런데 이 같은 사실은 특히 자녀의 양육과 교육에 엄청나게 중요한 의미가 있다. 왜냐하면, 물이 물꼬에 따라 각기 다르게 흘러가듯이, 자녀도 물꼬를 내주는 대로 성장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말이 되기 때문. 더구나 이는 부모의 정상적인 보호를 받은 아이들과 어린 시절부터 많은 상처를 받거나 혼자 방치되는 등 부모에게 잔뜩 억눌린 아이들을 비교해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사실. 그렇다면 자녀에게 무턱대고 무엇을 가르칠까 고민하기보다는, 먼저 어떤 물꼬를 내줄 것인지 진지하게 생각해보는 것이 훨씬 현명할 것이다.
2012.12.13 -
역수입되는 격대교육
최근에 와서 미국의 학자들이 연구를 시작했다는 사람이 조부모로부터 받는 영향. 당연히 우리나라에서 먼저 진행됐어야할 이에 대한 연구가 핵가족을 기반으로 한 가정이 주류를 이루는 미국에서 먼저 시작되다니. 미국이 우리나라에서 자문을 구해야할 사람이 조부모로부터 받는 영향이 거꾸로 우리나라의 방송사가 미국의 학자들에게 자문을 구하다니. 이 지경이 된 가장 기본적인 이유는 아무래도, 교육 등 우리나라의 문화에는 아예 관심 없이 그저 서양의 문화에만 환장한, 서양에 대한 사대주의에 철저하게 찌든 대학교수 등 학자들이 많이 있는 까닭이 아닐까 싶다.(사진 : SBS 캡처)
2012.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