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15)
-
현명하게 자녀를 양육하려면
경험을 통해서 자녀를 다그치는 것이 결코 최선이 아님을 깨달았다는 한 할머니. 이와는 달리, 자녀에 대한 욕심 때문에 자꾸 다그치게 된다는 한 수험생의 엄마. 이 같은 차이가 생기는 이유는 단지 경험, 즉, 연륜의 차이 때문만은 결코 아니다. 자식은 부모보다 할아버지나 할머니가 좀 더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것도 이 같은 차이가 생기는 한 가지 이유인데, 그러니 자녀의 양육에 있어 부모와 조부모는 당연히 서로 충돌하는 부분이 있을 수밖에. 그런데 사람은 자라면서, 즉,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점점 안정감도 갖게 된다. 그렇다보니 기본적으로 부모보다 조부모가 훨씬 더 안정돼있다고 말할 수 있는데, 따라서 부모세대와 조부모세대가 자녀의 양육에 대한 생각이 다른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바로 ‘..
2012.10.19 -
가장 효과적인 교육 방식
사람이 어린 시절에는 받아들이려는 욕구보다 표현하려는 욕구가 훨씬 더 강하다. 왜냐하면, 아직 어릴 때는 감당하는 능력이 매우 부족하기 때문인데, 그래서 특히 나이 어린 학생들을 위한 학교 교육은 받아들이기, 즉, 수용보다는 표현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지만 사람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조차 안 된 몇몇 멍청한 사람들은 표현보다는 수용에 초점을 맞춘 교육을 기획했고, 그 결과, 전 세계의 학교에서는 표현욕구가 매우 강한 학생들에게 그저 주어진 범위 안에서만 생각하도록 강요하고 있으며, 또, 그 안에서만 말하고 행동하도록 강요하고 있다. 마치, 나이 어린 학생들이 실험실에 갇힌 동물들이라도 된다는 듯이. 더구나 우리나라에는 최소한의 표현조차 할 수 없게 학생들을 억누르는 학교들과 ..
2012.06.22 -
마음이 중요한 엄마
34살이 된 뒤, 비로소 감정이나 느낌 등의 마음의 중요성을 깨달았다는 한 엄마. 그래서 그녀는 나이 어린 자녀들에게도 늘 남의 마음을 헤아려주라고 강조한다고 한다. 하지만 34살이나 된 어른이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비로소 깨닫게 된 것을 아직 10살도 채 안 된 어린아이들이 그대로 따라한다는 것은 사실 불가능하다. 그런데도 무턱대고 시키는 대로 하라고 강요하는 것은 부모라는 특권을 이용해서 나이 어린 자녀에게 횡포를 부리는 것밖에 되지 않는데, 더구나 아무리 좋은 것이라고 해도 아직 어린 까닭에 감당할 수 없는 것을 억지로 감당하라고 요구하는 것은 어린 자녀의 등에 엄청난 무게의 황금덩어리를 억지로 올려놓는 것과 같다. 즉, 심지어 자녀를 죽거나 정신병자로 만들 수도 있는 매우 위험한 행위인 것이..
2012.06.15 -
자녀 양육, 어떻게 할 지 모를 때는
‘수를 내기 어려우면 손을 빼라’즉, ‘어떻게 바둑을 둬야할지 모르겠다면 그냥 가만히 내버려둬라.’이와 같은 바둑의 격언은 자녀 양육에도 그대로 적용된다.따라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아무것도 하지 않은 채 아이를 그냥 가만히 내버려두는 것이 가장 현명하다.왜냐하면, 그냥 가만히 내버려두면 무엇부터 어떻게 해야 할지 자연스럽게 깨닫게 되는 까닭인데, 하지만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면서도 무턱대고 무엇인가 하려고 한다면 결국 아이는 실험용 생쥐만 될 뿐이다.(사진 : EBS 캡처)
2012.03.30 -
부모의 가장 기본적인 태도 1
사고방식이 잔뜩 왜곡된 사람들 중에는 종종, 부모가 자녀에게 권위적으로 말하고 행동하는 것 자체를 잘못이라고 우기는 정신이상자들이 있다. 그러나 부모란 자식에게 있어서 절대적인 존재이지만, 자식이란 부모에게 있어서 수많은 경우들 중 그저 하나에 불과할 뿐인데, 따라서 부모는 자식과 비록 같은 사람이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자식과 결코 대등할 수는 없다. 그래서 부모가 자식에게 권위적이 되는 것은 매우 당연하며, 이렇게 돼야 부모와 자식은 정상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고 이해하면 정확하다. 하지만 이와는 달리, ‘친구 같은 부모가 가장 좋다’는 말처럼, 무턱대고 친밀감만 느끼게 한다면 자식은 어느 순간부터인가 부모와 자신 사이에 명백하게 존재하는 질서를 무시하고 점점 부모와 대등해지려고, 즉, 맞먹으려고 ..
2012.02.04 -
서양 교육의 좋은 점이 있다면
내용상으로는 우리나라의 학교 교육과 다를 것이 거의 없는 미국을 비롯한 서양 여러 나라들의 학교 교육. 우리나라의 학교 교육과 가장 큰 차이라면 학생들 각자가 ‘나(我)’를 관점으로 한 교육을 받을 기회를 좀 더 많이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서양의 학생들은 우리나라의 학생들보다 자신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좀 더 많이 가질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서양의 학교 교사들은 우리나라의 학교 교사들보다 자신이 지도하고 있는 학생들의 장단점을 좀 더 쉽게, 좀 더 잘 파악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학생들에게 좀 더 현실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즉, 서양의 학생들이 우리나라의 학생들보다 자신에게 좀 더 잘 맞는 ‘맞춤교육’을 받을 기회를 좀 더 많이 가질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서양의 학교 교..
2011.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