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로병사의 비밀(18)
-
치유능력을 가지려면
숲에 들어서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저절로 마음이 편안해진다고 말하는 사람들. 그런데 마음이 편안해지면 사람의 면역력 등 저항력은 계속해서 커지며, 그 결과, 온갖 질병에서 자유로워진다. 이런 까닭에 흔히 숲, 즉, 자연은 치유능력을 갖고 있다고 말하는데, 이는 사람이 자연스러움을 회복한다면 점점 자기치유능력이 커진다는 의미도 갖고 있다. 따라서 자기치유능력을 갖고 싶다면 사람으로서의 자연스러움을 회복하기 위해서 노력해야할 것이다.(사진 : KBS1 캡처)
2013.05.23 -
기형아 늘어나는 대한민국
과거에는 미국 등 서양에서 주로 발견되던 각종 기형아가 우리나라에서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즉, 엄마의 뱃속에 있을 때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받지 못해서 정상적으로 자라지 못한 아기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는 것인데, 기본적으로 엄마의 마음이 불안하면 태아는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받지 못한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기형아가 늘어나는 것은 곧 임신 중 태아에게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하지 못할 만큼 마음이 불안한 엄마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단적인 증거라고 말할 수 있다. 물론, 임신한 엄마의 마음이 불안하게 된 데에는 시어머니 등 시댁 식구나 남편이 원인인 경우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에 앞서, 어린 시절에 부모에게 받은 상처 등 과거의 상처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태에서 임신하는 엄마가 훨씬 더 ..
2013.03.03 -
약 빤 생로병사의 비밀
미국에서 발표된 논문을 인용해 탄수화물 중독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KBS 1TV의 ‘생로병사의 비밀’. 그런데 우리나라의 식문화란 농업을 기반산업으로 하는 나라들이 흔히 그렇듯이 원래 쌀, 즉, 탄수화물을 위주로 한다. 그렇다보니 미국 등 식문화가 전혀 다른 나라의 연구결과를 충분한 검증도 없이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무턱대고 적용했다가는 오류가 생기기 매우 쉬운데, 실제로 미국 등의 서양 사람들을 기준으로 한다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모두가 탄수화물 중독자라는 말이 된다. 하지만 이 같은 위험성이 있는데도 우리나라와는 식문화 자체가 다른 서양에서의 연구결과가 철저하게 사대주의자인 학자들과 의사들, 그리고 언론에 의해 이처럼 무분별하게 알려지고 있으며, 돈벌이에 환장한 의사들에 의해 악착같이 악용되고 있는 것이 ..
2013.01.27 -
알코올의존증에 대한 두 가지 생각
오랫동안 시달린 알코올의존증을 고치려고 정신과 의사의 처방에 따라 한꺼번에 여러 가지 약을 복용한다는 한 남자. 하지만 한 임상미술치료학과 교수는 이 남자에 대해서, 많은 상처를 받는 등 잔뜩 억눌렸는데도 그 마음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해 술에 의존하게 됐다면서, 더 이상 술에 의존하지 않으려면 표현하고 싶은 욕구를 충족시켜줘야 한다고 말한다. 알코올의존증을 정신과 의사는 그 자체로 하나의 병이라고 생각해서 분석한 반면, 임상미술치료학과 교수는 그저 하나의 증상이라고만 생각했고, 그래서 이 증상이 나타나게 된 원인을 먼저 파악하려 노력했기에 이처럼 처방이 전혀 다른 것인데, 그렇다면 과연 누가 알코올의존증에 대해 좀 더 정확하게 이해하고 처방했을까? 그런데 이 남자에게 여러 약을 처방한 정신과 의사는 약물..
2013.01.18 -
우울증과 우울병
우울증을 아예 우울병이라고 자신 있게 잘라 말하는 한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즉, 우울증에 시달리는 사람들은 모두 정신병자라는 것인데, 이처럼 사람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조차 못한 사대주의자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들의 대 국민 정신병자 만들기는 계속해서 나쁜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사진 : KBS1 캡처)
2013.01.18 -
술에 의지하는 사람에게 가장 필요한 것
오랫동안 술에 의지해서 살아가고 있다는 사람이 스스로 그려놓은 자신의 속마음. 즉, 그는 중압감을 느낄 만큼 삶의 무게에 짓눌리고 있다는 것인데, 따라서 그는 삶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해 술에 의지하게 됐다고 말할 수 있다. 그렇다면 삶의 무게를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능력만 갖게 된다면 더 이상 술에 의지하지 않게 될 것이다. 그러니 그는 가장먼저 삶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을 갖기 위해 노력해야할 것인데, 이런 노력을 하지 않는다면 보나마나 점점 더욱 심하게 술에 의지하게 될 것이다. 술에 완전히 중독될 때까지.(사진 : KBS1 캡처)
2013.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