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이 달라졌어요(17)
-
통제과 친밀함 중에서
좋은 관계가 돼야 학생들이 자신의 통제에 잘 따를 것이라고 생각했다는 한 교사. 그래서 처음에 학생들이 문제를 일으켜도 강력하게 통제하지 않았다는데, 하지만 그녀의 예상과는 전혀 다르게, 좋은 관계가 될수록, 즉, 친밀하게 될수록 학생들은 수업시간에도 집중하지 못할 만큼 몹시 무질서해졌다고 한다. 이렇게 되자 비로소 자신의 생각에 무엇인가 오류가 있었음을 깨달았다는 그녀. 먼저, 원래 사람이란 자신보다 강한 사람에게 잘 순종하는 반면, 자신보다 강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순종하지 않으려하며, 자신보다 약한 사람은 지배하려한다. 즉, 친밀도와 순종은 아무런 연관이 없는 것이다. 그렇다보니 친하지 않아도 자신보다 강한 사람에게는 잘 순종하는 반면, 엄청나게 친해도 자신보다 강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순종하지 않으려..
2012.12.21 -
규칙을 만들 때에는
학생들이 수업시간에도 집중하지 않을 정도로 몹시 무질서해 고민이라는 한 교사. 오죽하면 자신의 교사로서의 능력이 충분한지 의심할 정도였다는데, 학생들 역시 수업에 집중하기 힘들다고 교사에게 불평을 늘어놓는다. 이에 질서가 명확한 교실을 만들겠다며 학생들이 지켜야할 교실 안에서의 규칙을 10가지 마련하는 그녀. 하지만 전혀 예고도 없이, 더구나 10가지나 되는 규칙을 갑자기 무턱대고 만들어 학생들에게 일방적으로 지키라고 요구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겨우 한 가지의 규칙도 지키기 힘들 정도로 몹시 무질서하게 된 아이들이, 규칙을 지켜야하는 이유조차 모르는 채 어떻게 한꺼번에 10가지나 되는 규칙을 지킬 수 있을까? 그런데도 무조건 규칙을 밀어붙인다면 학생들이 잔뜩 반발하기 쉬운 것이 현실!. 실제로 학생들..
2012.12.20 -
친한 교사의 시행착오
학생들에게 올바른 인간의 됨됨이를 가르쳐주는 선생님이 되고 싶었다는 한 교사. 즉, 지식이나 전달하는 강사로서의 역할보다는 사람으로서의, 선배로서의, 그리고 어른으로서의 역할에 더욱 충실한 교사가 되기를 스스로 바랐다는 것인데, 그래서 어울려 수다도 떨고 장난도 치는 등 학생들과 몹시 친한 교사가 되었다고 한다. 선배로서의, 어른으로서의 역할에 더욱 충실한 교사가 되겠다면 가장먼저 교사와 학생은 격이 다르다는 것을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학생들과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야하건만, 무턱대고 학생들과 친한 교사가 되다니. 더구나 친구 같은 부모, 친구 같은 교사가 되는 것이 좋다고 말하는 사람이 많이 있지만, 실제로 이렇게 되었다가는 ‘좋은 부모’나 ‘좋은 교사’보다는 결국 ‘만만한 부모’, ‘만..
2012.12.20 -
친절한 선생님의 지나친 배려
이제 겨우 중학교 2학년인 학생들이 모두 교사의 지시대로 잘 따라 하기는 몹시 힘들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한 교사. 그래서 심지어 문제를 못 푸는 학생들에게는 한 명 한 명 찾아가 아주 친절하게 답까지 가르쳐준다고 하는데, 하지만 이렇게 되다보니 마음 편하게 장난을 치거나 휴대전화를 갖고 노는 등 학생들이 수업시간에도 집중을 못하게 됐다고 한다. 물론, 그녀의 말처럼, 이제 겨우 중학교 2학년인 학생들 모두가 교사의 지시대로 잘 따라 하기는 몹시 힘든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그에 앞서, 수업시간에도 학생들이 마음 편하게 장난을 치거나 휴대전화를 갖고 놀 만큼 무질서하다는 것은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지켜야할 기본적인 원칙도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다시 교사로서 학생들을 지도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
2012.12.13 -
화를 내지 않는 교사
학생들이 수업시간에도 장난을 치는 등 계속해서 문제를 일으키는데도 화를 내지 않는다고 지적받는 한 교사. 먼저, 엄한 것과 화를 잘 내는 등 성질이 더러운 것이 같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이 있지만, 이 두 가지는 분명히 다르다. 화는 내키는 대로 아무 때나 낼 수 있는 반면, 사람이 엄하려면 반드시 규율이나 규칙 등 나름대로의 원칙을 미리 마련해야하니. 따라서 화를 자주 내지 않아도 아무런 원칙도 없이 화를 낸다면 성질이 더럽다고 말해야 정확하며, 원칙이 매우 많다고 해도 그것들에 충실하려고 노력한다면 엄하다고 인정해야 마땅하다. 그러니 이 교사는 엄하지 않다고, 즉, 학생들을 적절하게 통제할 수 있는 원칙이 없이 무질서하게 학생들을 지도한다고 지적해야 정확한데, 더구나 이같이 엉뚱한 지적을 받게 되면..
2012.12.13 -
의도와는 다른 결과
한 학생과의 사건을 통해, 의도가 좋다고 해서 반드시 결과까지 좋을 수는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다는 한 교사. 아무리 의도가 좋다고 해도, 어떻게 실행할지 방법론도 함께 생각하지 않으면 이 같은 시행착오를 겪기 매우 쉬운데, 그러니 이 교사는 방법론을 충분히 생각하지 않았던 까닭에 이 같은 시행착오를 겪었던 것이라고 짐작할 수 있다. 프로기사 등 바둑애호가들이 흔히 ‘수순이 중요하다’ 말하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 그런데 그에 앞서, 아랫사람이 윗사람의 마음을 헤아리는 것은 사실 불가능하다. 더구나 아직 나이가 어리거나 정신적으로 충분히 성숙하지 못했다면 더욱. 그렇다보니 말 한마디, 행동 한 가지만 정확하지 못해도 윗사람은 곧 의심받을 수 있는 등 아랫사람이 잔뜩 오해하게 만들기 매우 쉬운데, 이 같은 ..
2012.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