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문제 이야기(420)
-
‘인상’, 혹은, ‘표정’에 대한 이해
사람의 마음은 인상, 혹은, 표정을 통해서도 그대로 표현되는데, 특히 가만히 있을 때의 표정을 살펴보면 더욱 쉽게 사람의 마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가만히 있을 때의 표정이 왠지 화가 난 것 같다면 그 마음속에 화가 잔뜩 쌓여있다고 이해하면 되며, 왠지 강하게 보이는 인상이라면 성격도 그만큼 사나울 것이라고 이해하면 되고, 또, 왠지 기운이 없어 보이는 인상이라면 많이 지쳐있을 것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하지만 특히, 그 마음속에 화가 잔뜩 쌓여있거나 성질이 못된 사람들은 온갖 그럴듯한 말로 자신을 포정하기 좋아한다. 그렇다보니 자칫 그 말에 속기 쉬운데, 이런 사람들에게 속았다가는 평생 후회하게 될 수도 있으니 매우 주의해야한다.(사진 : tvN 캡처)
2011.12.12 -
무서운 세상
제 한 몸조차 추스르지 못할 만큼 정신문제가 매우 심각한 자식을 고치려고 노력하기보다, 그 배우자가 어떻게 되든지 상관없이, 그저 빨리 결혼만 시키겠다는 적지 않은 부모들. 바로 이런 부모들 때문에 실제로 몇몇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국고까지 사용하면서 정신문제가 매우 심각한 사람들의 국제결혼을 추진했었다.(사진 : SBS 캡처)
2011.12.11 -
고혈압 환자들의 공통점
비공식적인 통계에 따르면, 고혈압 환자들 중 약 90% 이상이 성격에 많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걸핏하면 화를 내는 등, 성질이 더러운 사람은 고혈압 환자가 될 가능성이 엄청나게 크다고 말할 수 있는데, 뿐만 아니라, 당뇨로 고생하는 사람들 역시 주로 성질이 더러운 사람들에게서 발견된다.
2011.12.06 -
직장인 46.3%, 퇴근 뒤에도 업무 스트레스 시달려
직장인 2명 중 1명은 퇴근 이후에도 업무를 많이 걱정하는 등, 상당수 직장인들이 근무 시간 뒤에도 업무 스트레스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가 국내외 기업에 재직 중인 남녀 직장인 6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직장인 업무 의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직장인 46.3%가 ‘퇴근 이후에도 업무에 대한 걱정을 많이 한다’고 답한 것이다. 하지만 이 같은 결과는 연령과 성별, 직무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먼저, 남성 직장인들(50.4%)이 여성 직장인들(39.6%)보다 퇴근 뒤 업무스트레스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대별로는 40대 직장인(53.7%)이 퇴근 뒤 업무스트레스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30대 직장인(50.2..
2011.12.06 -
정신문제와 건강
정신문제는 그 자체로 문제일 뿐 아니라, 사람의 모든 질병을 더욱 악화시키며, 회복을 더디게 만든다. 따라서 각종 질병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각종 질병의 조속한 치료를 위해서는 반드시 정신문제에 대한 조치가 병행되어야 한다.(사진 : MBC 캡처)
2011.12.05 -
몽유의 원인과 대책
사람의 머리에 있는 ‘시상하부’의 작동 이상에 의해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현상들 중의 한 가지인 ‘몽유’ ‘몽유’도 마음의 상처에 의한 여러 가지 정신문제 중 하나인데, 따라서 ‘몽유’에서 벗어나고 싶다면 가장먼저 ‘마음의 상처’를 해소하려 노력해야한다.(사진 : MBC 캡처)
2011.12.05